Ubuntu
개요
우분투가 뭔지를 다룰 글인데, 당장은 관련 이슈들을 해결하는 글들을 모아둔다.
도움되는 사이트
우분투 사용자가 많지는 않기에, 다양한 분들의 글을 참고하게 되는데 도움되는 블로그나 자료를 조금 정리해두려고 한다.
클립보드
클립보드 히스토리를 볼 수 있게.
https://www.veeble.com/kb/ubuntu-24-04-clipboard-install-and-usage-guide/
기본적으로 xclip이라는 것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저장된 레지스터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긴 하다.
그런데 여태 저장된 내역들을 확인하거나, 다른 기기와의 연동을 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발전된 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https://hluk.github.io/CopyQ/
sudo add-apt-repository ppa:hluk/copyq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copyq
일단 copyq는 장치 내에서 클립보드를 사용할 때 정말 좋다.
만약 기기 간 연동을 하고 싶다면 kde connect라는 선택지가 있는데, 나중에 시도해볼 듯.
https://github.com/hluk/copyq-commands/blob/master/Application/tab-key-select.ini
여기에 유용한 커맨드들도 있다.
이걸 F6으로 열어서 넣어주면 된다.
[Command]
Command="
copyq:
var selected = selectedItems();
var len = size();
var i = selected.length > 0 ? selected[0] : len;
var shortcut = str(data(mimeShortcut));
if (shortcut.search(/shift/i) != -1) {
i--;
if (i < 0) {
i = len - 1;
}
} else {
i++;
if (i >= len) {
i = 0;
}
}
selectItems(i)"
Icon=\xf362
InMenu=true
Name=Tab Key to Select Next/Previous
Shortcut=tab, shift+tab
[Command]
Command="
copyq:
var currentIndex =
remove(currentIndex)
Icon=\xf362
InMenu=true
Name=Test
Shortcut=alt+h
원하는 레포지토리 등록 후 서명하기
쿠버네티스에서 항상 받곤하는 각종 툴을 받기 위해서는 쿠버 패키지 저장소를 등록해야 한다.
curl -fsSL https://pkgs.k8s.io/core:/stable:/v1.32/deb/Release.key | sudo gpg --dearmor -o /etc/apt/keyrings/kubernetes-apt-keyring.gpg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curl의 인자 fsSL는 오류 시 빠르게 에러를 내고, 결과만 내고, 에러가 뜨면 에러 내용을 보여주고, 리디렉션을 따라간다.
이를 통해 쿠버네티스의 GPG(GNU Privacy Guard) 공개키가 나온다.
그 이후 이 키를 gpg 명령어로 이진형식으로 바꾼 후에 특정 위치에 저장하는 것이다.
결과를 확인하면 이런 식으로 이진형식으로 해당 디렉에 저장된다.
이를 통해 apt 명령어를 쓸 때 추가된 패키지의 서명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echo 'deb [signed-by=/etc/apt/keyrings/kubernetes-apt-keyring.gpg] https://pkgs.k8s.io/core:/stable:/v1.32/deb/ /' | sudo tee /etc/apt/sources.list.d/kubernetes.list
그 다음에는 레포지토리를 apt의 소스로 추가한다.
deb은 바이너리 패키지를 설치한다는 뜻이고, 무엇으로 서명됐는지, 어디에서 받아올 것인지, 그곳에서 어떤 경로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파일에 써넣는다.
참고로 pkgs는 이런 곳이더라.
윈도우 전환
여러 창이 띄워져있을 때 alt tab으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때 같은 어플리케이션끼리는 묶음 처리가 돼서 불편할 때가 있다.
이건 원래 해당 키가 시스템 전환
으로 설정돼 있어서 그렇다.
이때는 keyboard shortcut에 switch windows를 설정해주면 된다.[1]
gpu 드라이버 설치
내 노트북은 intel arc gpu를 쓴다.
MTL은 메테오 레이크를 말하는 듯.
아무튼 이 gpu에 맞는 드라이버를 세팅할 필요가 있어보인다.[2]
c 타입 모니터 연결
이 모니터를 통해 데이지체인을 하고 있다.
즉, 이더넷도 연결돼있고 충전 기능까지 지원 중이다.
그러나 모니터로서 인식은 되지 않고 있다.
https://netal.tistory.com/entry/리눅스-인텔-11세대-내장그래픽-드라이버-적용-멀티모니터-인식-해상도-문제
cat /etc/default/grub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i915.force_probe=7d55 $vt_handoff"
사용하는 모니터는 이것
https://www.dell.com/support/product-details/ko-kr/product/dell-u2722de-monitor/drivers
드라이버 이슈일 가능성이 높다.
https://dgpu-docs.intel.com/driver/client/overview.html
여기에는 내 그래픽 드라이버에 대한 설치법이 나옴.
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support/articles/000005520/graphics.html
일단 내 그래픽 드라이버 확인
lspci -nn
이를 통해 내 그래픽 카드를 확인 가능.
# Install the Intel graphics GPG public key
wget -qO - https://repositories.intel.com/gpu/intel-graphics.key | \
sudo gpg --yes --dearmor --output /usr/share/keyrings/intel-graphics.gpg
# Configure the repositories.intel.com package repository
echo "deb [arch=amd64,i386 signed-by=/usr/share/keyrings/intel-graphics.gpg] https://repositories.intel.com/gpu/ubuntu noble unified" | \
sudo tee /etc/apt/sources.list.d/intel-gpu-noble.list
# Update the package repository metadata
sudo apt update
# Install the compute-related packages
apt-get install -y libze-intel-gpu1 libze1 intel-opencl-icd clinfo intel-gsc
관련 문서
이름 | noteType | created |
---|